한국형 히어로 판타지의 출발점
최동훈 감독의 야심작, 판타지, 액션, 모험 2009년 영화 [전우치]
개봉: 2009년 12월 23일
내용 전개
– 고전 설화를 스크린에 소환하다
전우치. 이 이름 세 글자에서 이미 전통과 익살이 묻어난다. 조선시대 설화 속 도사 전우치를 현대적 상상력으로 재해석한 2009년작 영화 [전우치]는 최동훈 감독의 전작들처럼 ‘장르의 틀을 비틀고 새롭게 태어난 한국형 오락 영화’의 또 하나의 대표작이다.
최동훈 감독은 [범죄의 재구성], [타짜] 등 이전 작품에서도 장르 혼합과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에 강했다. 이번엔 고전을 판타지로 풀어내며, 우리만의 ‘슈퍼히어로’를 창조해낸다. 이 영화는 단순히 재미만을 추구하는 영화가 아니라, 한국의 전통 설화를 SF, 판타지, 현대극과 섞은 독특한 시도다.
– 조선에서 깨어난 전우치, 다시 세상 속으로
조선시대. 강력한 도술을 지닌 전우치(강동원)는 도사로서 수행보다는 장난에 능하고, 제자라는 자부심보다는 허세에 더 능하다. 그의 스승은 전설의 도사 화담(김윤석)과 절친이었지만, 어느 날 스승이 갑자기 죽임을 당하고, 누명을 쓴 전우치는 자신도 모르게 봉인된다. 봉인될 때 마지막으로 "언젠가 네가 필요할 때가 올 것"이라는 말만이 남는다.
500년 후, 2009년 서울. 요괴들이 다시 세상에 나타나기 시작하자, 세 명의 도사들이 전우치를 봉인에서 풀어낸다. 그가 살아 돌아왔다는 사실에 세상은 술렁이고, 전우치는 ‘이건 또 무슨 장난인가’ 싶어하며 현대문명을 어리둥절하게 받아들인다.
하지만 이내 요괴를 잡기 위한 도사의 사명을 안고, 자신의 정체를 감춘 채 평범한 인간처럼 생활하던 여자(임수정)와도 재회하면서, 전우치는 자신을 둘러싼 500년 전 사건의 진실에 다가간다. 그리고 밝혀지는 화담의 배신과 음모. 도술과 현대의 기술, 감정이 섞인 싸움이 펼쳐지며, 전우치는 진짜 ‘영웅’으로 거듭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한다.
나오는 인물
– 전설의 도사들과 요괴들
전우치 (강동원): 조선 최고의 말썽꾸러기 도사. 장난기 가득하지만 내면에는 정의감이 있다. 현대에서도 여전한 허세와 재치를 보여주며 성장하는 히어로.
화담 (김윤석): 전우치의 스승과 함께했던 도사. 그러나 500년 전의 진실을 감추고 악의 세력으로 변모해버린 인물.
서인경 / 화연 (임수정): 전우치가 과거에 사랑했던 여인과 닮은 인물. 미묘한 로맨스를 불러일으킨다.
초랭이 (유해진): 전우치의 동물 벗이자 말 많은 친구. 때론 전우치보다 현실적이고 똑똑하다.
화담을 따르는 요괴 무리와 도사들 (백윤식 외): 고전 설화 속 요괴들이 현대 사회를 휘젓는다.
웃음 포인트
– 웃음과 도술, 그리고 한국형 히어로의 매력
강동원의 원맨쇼
‘전우치’는 거의 강동원을 위한 영화다. 능글맞고 장난꾸러기지만 결정적인 순간엔 멋진 활약을 펼치는 이 도사의 매력을, 강동원은 완벽하게 소화했다. 특히 과거와 현대를 넘나드는 그의 변신은 신선하고 유쾌하다.
도술 액션의 한국화
마치 동양판 ‘해리포터’ 같다고 해야 할까. 부적을 날리고 요괴를 물리치는 방식이 너무나도 우리답다. CG 역시 당시 기준으로는 준수한 편이며, 도술 액션이 촌스럽지 않고 오히려 만화적 쾌감을 준다.
현대 속 전설의 해석
전우치라는 캐릭터는 분명 설화 속 인물이지만, 현대의 도시 속에서 버스 타고, 광고판을 보고, 스마트폰을 만지는 모습은 관객에게 신선한 충격을 준다. 이질감 대신 ‘유쾌한 어울림’이 탄생하는 마법이다.
결론
– 설화 속 이야기로 블록버스터를 만들다
[전우치]는 당시 한국 영화로서는 드물게 ‘판타지 블록버스터’라는 장르에 도전한 작품이었다. 역사적 실존 인물이 아닌 설화 속 인물을 가져와 현대와 연결하고, 마법과 도술이라는 전통적 요소를 현대적 상상력으로 치환한 점에서 높이 평가받는다.
스토리는 다소 전형적이고, 전개도 예측 가능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중요한 건 그 이상의 즐거움이다. 시각적으로도 충분히 신선하고, 배우들의 케미는 말할 것도 없으며, 유해진의 초랭이는 전우치 못지않은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또한 이 영화는 최동훈 감독 특유의 ‘빠른 편집’과 ‘장면 유머’가 극대화된 작품으로, 보는 내내 관객의 긴장감과 몰입도를 놓지 않는다.
– 다시 꺼내봐도 재미있는 ‘국산 히어로 무비’
[전우치]는 시대를 초월한 도사의 이야기로, 전통과 현대를 유쾌하게 넘나든다. 지금 다시 봐도 촌스럽지 않고, 오히려 당대의 기술과 연출의 조합으로 만든 ‘한국형 히어로’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
해리포터, 닥터 스트레인지가 부럽지 않은 도술 히어로 전우치. 웃기고, 멋지고, 설레는 이 판타지 모험담은 오늘도 유쾌한 시간을 선사한다.
한줄평
“조선에서 온 도사, 서울을 구하다!”
“도술과 허세가 뒤엉킨 전설의 히어로, 이제 서울을 뒤흔든다!”
“500년을 뛰어넘은 유쾌한 복수극, 한국 영화판 마법이 시작된다.”
“웃음도, 액션도, 상상력도 풀장착! 전우치가 보여주는 한국형 판타지의 정석.”
해시태그
#전우치 #강동원 #한국형히어로 #최동훈감독 #판타지액션 #요괴와도사 #도술액션 #국산판타지 #블록버스터 #재관람추천